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편견 및 고정관념의 올바른 이해와 예시

by 오프리3 2022. 4. 29.

개요

사전적인 의미로 편견은 공평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사고를 말하며 타인에게 공감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에 비해 고정관념은 한번 형성되는 쉽사리 변하지 않는 행동을 촉발하는 주된 사고나 특정 단체의 사람들에 의해 

굳어버린 과한 일반화된 사고를 말합니다

 

편견이나 고정관념이라는 단어는 태생이 중립어라서 이에 대한 시비를 가리려면 잘못된 이라는 수식어와 써야 알맞게 쓴 어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단어 자체를 잘못됐다고 표현할 수는 없는 이유입니다 인간은 심장을 가지고 있다 라는 팩트 자체는 굳이 증명하지 않아도 누구나 상식적으로 아는 고정관념 중 하나이며 이를 잘못됐다고 할 수 없습니다 주로 말을 할 때 편견과 고정관념이 안 좋은 맥락에서 많이 쓰이기 때문이며 그 단어 자체가 부정적이진 않습니다



편견과 차별대우

널리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두가지중 편견은 특정 단체의 일원을 대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차별대우는 자기가 속하지 않은 다른 단체를 증오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특정 집단을 좋아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어떤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편견이 있으나 차별대우라는 액션을 취하진 않았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상반되는 경우로 차별대우라는 행동은 하지만 편견은 가지지 않는 드문 사례도 존재합니다

적대시하는 집단에 대한 차별대우에 대한 고든 올포트의 5단계를 보자면 첫째 반항적 말투로써 적대집단을 향한 언어적 공격, 두번쨰 회피가 있는데 적대집단을 체계적으로 피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나치 독일의 다윗별이 있습니다 세번째 차별대우로써 적대집단은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시민권 직업 등에서 의도적인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네번째 신체적 공격은 적대 집단의 구성원들은 공격당하고 그들의 소유물이 파괴되기도 합니다 다섯쨰 몰살로써 적대 집단의 모든 구성원을 몰살하려는 의도적 시도가 일어나는 것인데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가 그 예입니다

편견과 차별대우가 같이 발생할 때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은 동일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예가 많습니다 미국의 공무원인 라피어가 미국여행온 중국인부부와 미국 250개 호텔과 레스토랑을 방문했는데 서비스 거부를 딱 한번 당했습니다 이 결과는 미국인과 중국인 차별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으로 보이는데 라피어가 방문했던 곳에 중국인 손님 접객여부를 후에 편지로 물어보자 거의 대부분이 받지 않겠다고 응했습니다 차별대우를 거의 보이지는 않았으나 편견은 존재했음을 반증해주는 실험결과였습니다
편견이 감지될때는 사회적 압력이 도사리고 있다는 뜻입니다 편견의 평가방법을 보면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큰 영향을 끼칩니다 인간은 누구나 타인에게 자신이 편견있는 사람으로 보이기 싫어하며 본래 자기의 이미지보다 더 관대하게 보이도록 포장하고 싶어합니다
편견에는 공공연한 편견, 암묵적인 편견,자동적인 편견이 있습니다 
가난하면 비굴하다고 대놓고 말하거나 자신의 견해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진 않으나 반대의견도 표시않는 경우 장애인은 수동적이다라는 의견으로 순서대로 예를 들 수 있겠습니다
이와 같이 편견같은 반사회적 태도 연구를 위해 개개인의 심리에 깔린 애매한 성향을 캐치해내는 방법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사회심리학자들이 쓰는 암묵적 연합검사는 사회인지상황 연구시 널리 쓰이는 방법입니다

고정관념

고정관념은 인지에 속하는데 어떤 집단에서 우월하다고 느껴지는 특징을 그 집단 모두에게 차이 없이 부여되는 일차원적 인지 관점을 말합니다 편견은 태도 및 정서적인 면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편견을 가진 이는 자기가 적대시하는 단체의 사람들을 비슷하다고 생각하고 이 현상을 외집단 동질성 편향이라 합니다 개성은 고려하지 않는 틀에 정형화시키는 방법이 고정관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문제점

고정관념의 문제는 타인에 대한 안좋은 왜곡입니다 이 결과로 사회 전반의 차별이 생기고 피해자들이 늘어간다는 것입니다 편견은 우리의 행복과 삶의 질을 낮추고 있습니다 고정관념은 또한 편견과 차별 같은 관용 없음에 정당화하는 논리로 이용되곤 하는데 사회심리학자는 이를 정정하기 위해 오랜 고민을 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만을 위한 업무를 하는 경우 비장애인을 전담으로 만날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기에 장애인만의 문제만 보다보면 고집이 세다거나 무기력하다 등의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댓글